교회는 직분에 따른 책임이 따릅니다. 그러나 장로의 책임은 교회의 모든 것을 책임지는 막중한 것입니다. 잘되는 것과 못되는 것 모두 책임이 장로(목회자)에게 주어집니다. 그만큼 교회에서 막중한 책임을 가지는 자리입니다.
이것이
지금까지의 코넬한인교회 모습과는 다른 큰 변화중의 하나일 것입니다. 섬김위도 막중한 책임이 있습니다. 하지만 선출 섬김위는 1년을 기준으로 사람이 바뀌어지게 됩니다. 그러나 장로는 교회를 은퇴하기 까지 평생을 섬기게
됩니다. 그만큼 책임감에서 안정적이고 더 지속적인 헌신이 쏟아질 수 있습니다.
비전을
세우는 일에 책임지는 분들입니다. 이 일이 참
힘듭니다. 왜냐하면 기도와 함께 동역을 전제로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. 이것 좋습니다. 해보지요. 이런 제안들 누구나 할 수
있습니다. 비전은 좋은 내 머리에서 나오는 아이디어가 아닙니다. 남의
교회, 큰 교회가 잘하고 있는 것, 좋은 것 보고와서 우리교회도 하자고
떼쓰는 것 아닙니다. 목회가 이것 때문에 힘이 듭니다. 성도도 마찬가지 일 것입니다. 목회자가 이것 저것 하자고 하면 힘이 듭니다. 우리에게 맞지 않기 때문입니다.
그리고 이것 저것 할 수 있는 인적, 재정적 여력이 없는데도 하자고 하면 어렵습니다.
그러나
비전은 목회자의 욕심이 아닙니다. 그리고 성도의
반짝이는 아이디어가 아닙니다. 하늘로부터 주어지는 사명입니다. 이것은
거역할 수 없는 부담감입니다. 그래서 희생이 있어야 합니다. 이 비전을
함께 나누고 이루어 갈 동역자들이 가장 먼저 장로님들이기에 힘든 자리가 됩니다. 성도들에게 나누기 전에 먼저
목회자와 부딪히게 됩니다.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. 그래서 당회는
목회자와 함께 기도하고 목회자와 함께 꿈꾸는 일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. 하늘로 부터 주어지는 비전을 서로가
인정하고 힘을 내어 추진해 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. 그리고 비전으로 주신것이라면 이루어 내야 하는 사명이
있기에 모든 것을 드려 헌신하는 분들이 바로 장로입니다.
자신의
직업을 가지신 분들이 헌신의 자리에서 책임을 다합니다. 장로의 자리는 최대한 그리고 어떤 성도들 보다 더 많이 헌신하고 드리고 기도하는 분이 되어야 하기에 힘이 드는 자리입니다.
어떤
분은 가능하면 자기 교회에서 주일성수를 지키기 위해 헌신하는 분들이 계십니다. 교회가 물질이 부족하고 어려워질 때 참 힘드신 분들이 바로 장로님들입니다. 이런 책임감을 가지고
그 자리에 서게 되는 것입니다.
책임감이
크면 당연히 주님이 허락하시는 것도 당연히 큽니다. 이
문제는 기복신앙이 될 수 있을 것 같아 이 정도로 하겠습니다. 많은 빗물을 담을 수 있는 그릇은 면적이 넓어
많이 담거나 아니면 지면에서 높아서 많은 물을 담을 수 있습니다. 지경을 넓히시고 존귀함을 받게하셔서 하나님은
하나님의 일을 하게 만드시는 분입니다.